독거 어르신 통신비 부담 지원…월 5천원대 알뜰폰 요금제 8월 말 출시
정부·지자체·민간 협력 모델, 디지털 소외 해소 및 통신 기본권 보장 기대

혼자 사는 어르신들의 통신비 부담을 덜고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독거 어르신 대상 알뜰폰 요금 지원사업’이 오는 8월 말 또는 9월 초부터 본격 시행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자체, 통신사업자, 우체국 등과 협력하여 월 5천~6천 원 수준으로 2년간 이용할 수 있는 알뜰폰 전용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이는 새 정부의 통신 공약인 통신 기본권 보장 및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고령화 시대에 맞춰 디지털 소외계층인 독거 어르신들의 통신 접근성을 강화하고 통신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하며 사업을 설계해왔다.
이번 사업은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각자의 역할을 유기적으로 분담하는 민관 협력 모델로 추진된다.
이번 알뜰폰 요금 지원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전체 사업을 총괄하며, 지자체는 지원 대상 어르신 선정과 요금 지원을 담당한다.
이동통신 3사 및 알뜰폰 사업자는 독거 어르신이 가입할 수 있는 저렴한 전용 요금제를 설계하고 제공한다.
특히,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우체국 유통망을 활용하여 어르신들이 요금제 안내를 받고 가입 절차를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밀착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달 8일까지 이 사업에 참여할 지자체에 대한 수요조사를 진행하며, 참여 지자체가 확정되면 지자체와의 최종 협의를 거쳐 8월 말에서 9월 초 사이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사업이 개시되면 각 지자체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독거 어르신들은 데이터 안심옵션(QoS)이 포함된 월 1만 원 내외의 요금제를 실제로는 월 5천~6천 원 수준으로 2년 동안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저렴한 요금제는 이동통신사의 지원금과 우체국 수수료 인하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기획되었으며, 참여 지자체가 해당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특히 고령층의 이용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전국 우체국 유통망을 통해 요금제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가입 절차 지원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