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전 발행-생활정보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 : 꼼꼼하게 알아보고,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파이브틸 2025. 4. 10. 22:11
반응형

2025년 한부모 가정을 위한 주거비 지원 정책, 자격 조건부터 신청 방법, 지원 금액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힘내세요, 대한민국 한부모 부모님! 2025년 주거 걱정 조금이나마 덜어드릴 희소식이 있어요!

 

홀로 아이를 키우시는 대한민국 한부모 부모님들, 정말 고생 많으시죠?

 

2025년에는 정부에서 한부모 가정을 위한 주거비 지원을 더욱 확대한다고 하니, 주거에 대한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성가족부는 2025년 한부모가족 지원 예산을 지난해 대비 173억 원 증액한 5,614억 원으로 편성하여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지원 대상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예산 증가는 더 많은 한부모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고, 지원 금액을 현실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따라서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에 대한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셔서,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한부모가정 주거복지 지원정책 (이미지=픽사베이)
한부모가정 주거복지 지원정책 (이미지=픽사베이)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 무엇이 달라지나요?


 

2025년에는 한부모 주거급여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을 예정인데요.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주거급여 지원 금액이 인상된다는 점입니다.

 

임대 가구의 경우, 지역 및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임대료가 월 1만 1천 원에서 2만 4천 원까지 인상될 예정입니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주거급여는 임차 가구에 대한 임차 급여 지급 상한액인 임차 가구 기준 임대료를 올해 대비 급지 및 가구별로 3.2%에서 7.8%까지 인상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간의 물가 상승률과 주거 비용 증가를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 기준으로 3급지에 거주하는 임차 가구의 경우, 기준 임대료가 1만 2천 원 인상되어 월 22만 8천 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인상은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가 가구에 대한 주택 수선비 지원 또한 대폭 확대됩니다. 최근 4년간의 건설 공사비 상승률을 반영하여 올해 대비 29%나 인상되었는데요.

 

주택 수선비용은 주택의 노후 정도에 따라 경보수, 중보수, 대보수로 나뉘며, 각각 지원 금액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경보수의 경우 590만 원, 중보수는 1,095만 원, 대보수는 1,601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가에 거주하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한부모 가정의 주거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소득 인정액 산정 시 자동차 재산 기준도 완화됩니다.

 

기존에는 차량 가액 500만 원 미만의 차량만 인정되었지만, 2025년부터는 1,000만 원 미만의 차량까지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차량이 필수적인 이동 수단인 한부모 가정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차량 때문에 주거급여 대상에서 탈락하는 사례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한부모 가정의 아동 양육비 지원 금액이 월 21만 원에서 23만 원으로 인상되고, 청소년 한부모 아동 양육비는 월 35만 원에서 37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또한, 기존에 중·고등학생에게만 지원되던 학용품비가 2025년부터는 초등학생까지 확대 지원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주거비뿐만 아니라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전반적으로 덜어주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누가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를 받기 위한 자격 조건은 어떻게 될까요? 주거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한 종류로,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됩니다.

 

2025년 주거급여의 선정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입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원/월) 주거급여 소득 인정액 기준 (기준 중위소득 48%) (원/월)
1인 가구 2,392,013 1,148,166
2인 가구 3,932,658 1,887,676
3인 가구 5,025,353 2,412,169
4인 가구 6,097,773 2,926,931
5인 가구 7,108,192 3,411,932
6인 가구 8,064,805 3,871,106
7인 가구 8,988,428 4,314,445
반응형

 

한부모 가정의 경우, 만 18세 미만의 자녀(취학 시 만 22세 미만, 병역 의무 이행 기간 가산)를 양육하며, 소득 인정액이 위 표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주민등록상 주소와 세대가 같아야 하지만, 양육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여 예외적인 경우도 인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자동차 재산 기준이 완화되어 차량 가액 1,000만 원 미만의 차량을 소유하고 있어도 주거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주거급여 지원 금액은 거주 지역에 따라 1급지부터 4급지로 나뉘어 차등 지급됩니다.

 

1급지는 서울, 2급지는 경기 및 인천, 3급지는 광역시, 세종시 및 수도권 외 특례시, 4급지는 그 외 지역에 해당합니다. 2025년 기준 임대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 1급지 (원/월) 2급지 (원/월) 3급지 (원/월) 4급지 (원/월)
1인 가구 352,000 281,000 228,000 191,000
2인 가구 395,000 314,000 254,000 215,000
3인 가구 470,000 375,000 302,000 256,000
4인 가구 545,000 433,000 351,000 297,000
5인 가구 564,000 448,000 363,000 307,000
6인 가구 667,000 531,000 428,000 363,000

 

실제 지급되는 주거급여 금액은 위 기준 임대료 범위 내에서 임차료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소득 수준에 따라 일부 자기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거주하는 3인 가구의 소득 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 기준 이하이고 월세가 30만 원이라면, 주거급여로 3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자가 가구의 경우, 주택 수선비 지원은 주택 노후도에 따라 경보수, 중보수, 대보수로 구분하여 지원됩니다.

 

생계급여 선정 기준 이하인 경우 최대 100%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80%~90%까지 차등 지원됩니다.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 어떻게 신청하나요?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를 신청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에는 신청서와 함께 소득 및 재산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가족 관계 증명서 등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정확한 필요 서류 목록은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신청 절차는 초기 상담, 대상자 통합 조사 및 확정, 서비스 지원 순으로 진행됩니다.

 


한부모 가정을 위한 또 다른 든든한 지원 정책들!


 

2025년에는 주거급여 외에도 한부모 가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먼저, 아동 양육비 지원 금액이 인상되어 자녀 1인당 월 23만 원(청소년 한부모의 경우 월 37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학용품비 지원 대상이 초등학생까지 확대되어 자녀의 교육비 부담을 덜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래를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되어줄 디딤씨앗통장 지원 대상도 확대되어, 2025년부터는 차상위 계층 한부모 가정의 아동도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이 통장은 아동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두 배로 매칭하여 적립해 주는 제도입니다.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문화 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금도 연간 13만 원에서 14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한부모 근로자의 경우, 육아휴직 급여액이 최대 250만 원까지 상향될 예정이어서,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성가족부에서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 모은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를 발간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 안내서에는 임신·출산, 양육·돌봄, 시설·주거, 교육·취업, 금융·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이 자세히 안내되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 신청, 이것만 기억하세요!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 신청을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을 꼭 기억해주세요.

·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소득 인정액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해보세요.

· 거주 지역에 따른 주거급여 지원 금액을 확인하여 예상 지원액을 파악해보세요.

·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누락되는 서류가 없도록 꼼꼼히 챙기세요.

· 궁금한 점이 있다면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으세요.

· 가능하다면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신청하세요.

 


 

2025년 한부모 주거급여를 통해 조금이나마 주거 걱정을 덜고, 더욱 행복한 가정을 만들어나가시길 바랍니다. 혼자가 아닌, 우리 모두가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반응형